본문 바로가기
📁 UX&UI_ Study/서비스 경험 디자인

[디자인스터디] 디자인리서치 방법론 / Memo

by 디자이너 낑깡 2022. 4. 20.

Design Study : 자인리서치_대학수업 회고록

디자인 리서치의 개념과 방법까지

 

Intro

대학을 졸업한 지 얼마안된 이 시점에서. 디자인 관련 지식을 다시 되짚어 보기로 했다.

실무에서 적용하는 법도 좋지만. 기본기를 다시 다지면서 스터디를 하는 목적으로 메모해두려 합니다 :)


 

Chapter 1 : 디자인 리서치란?

디자이너(기획자)가 특정 상황을 보고, 발생한 문제점을 디자인의 영역에서 해결하기위해서 문제해결방법을 찾고

그 안에서 디자이너 자신이 문제해결방법을 개념화하고 구체화하여 (1.문제발견 2.정의 3.해결방안도출 4.시각화 과정에 입각한 객관적인 단계를 거쳐 나온 최종 결과물을 통해)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해 하는 활동이라고 칭할수있다.


Chapter 2 :  리서치를 하기위한 방법 및 활동

데스트 리서치 vs 필드 리서치

◼ 데스크 리서치란 말그대로 책상위에서 진행하는 리서치 방식이다.

간단한 예시로 인터넷 서치정도이다.

 

◼필드 리서치는 현장조사라고도 한다. 한 사람이 일상적인 환경에서 행동하는 모든 모습을 관찰하는 방법.

자연스럽게 행동을 하고 리서처는 대상자의 생활습관 및 일상생활을 관찰합니다.

 


양적조사 (Quantitative survey) vs 질적조사(Qualitative survey)

 

◼ 양적조사: 다수의 조사대상자들에게 설문을 통해 얻은정보를 분석하는 조사방법

조사대상자는 최소 100명이상의 데이터가 모여야 하며 설문지작성과 결과해석의 과정에서 나의 개인적 주관이 개입되는 것은 지양해야한다. 가설을 서포트하기 위한 데이터 작업이다.

-설문지(Survey)기법

 

 

◼ 질적조사: 정성조사라고도 한다. 데이터로 해석되는 것만이 아닌,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환경에서 

결과물을 이해하려는 과정이다. 정해진 대답과 데이터는 없으며 설명적인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.

대표적으로 인터뷰 방식이 있으며 질문+응답의 형식으로 진행된다.

-인터뷰 

 

성공적인 인터뷰 요소

  1. 편안한 분위기 조성 : 인터뷰 시작 직후 자세한 설명 및 감사 인사로 진행, 가장 민감한 주제의 이야기는 맨 나중에 설명하는 것을 지향_Common sense
  2. 첫 질문: 첫인상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질문이다. 대답하기 쉬워야 하며 닫힌 질문의 형식은 자제해야한다.(Yes or No) 이야기의 주도권은 상대방에게 있다는 뉘앙스를 풍겨 줘야한다.
  3. 주도하는 자세❌: 인터뷰를 진행하는 당사자가 자신의 의견을 어필하거나 상대방 의견에 동조하는 자세는 지양
  4. 공감 과 집중

 

-다이어리 스터디 : 특정 기간(주 또는 월단위) 동안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프로세스를 기획.

해당 기간 동안 사용자는 다이어리에 제품을 이용한 경험이나 느낌에 대해서 기록하는 방법으로 진행됨.

하지만 최근에는 보다 객관적인 방법이 활용되고 있음(비디오 레코딩 및 녹음)

 

 


✧ 만약에(what if~) 기법

 

만약에 기법은 디자이너가 현재 상황에 얽매어 있는 제약을 타파하고 다양한 변화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
디자이너가 스스로 기존의 사고방식에 도전하고 자극하는 만약에~ 라는 질문을 던져 진행하는것이다.

 

 

✧ Swot 분석

경쟁사 분석 또는 자사의 분석으로 내외적으로 강점 약점 기회 위협요소 등을 도출하여 디자인전력을 짜는 것이다.

-강점_Strength

-약점_Weakness

-기회_Opportunity

-위협_Threat

 

 

Swot 분석 및 사례

출처:https://www.reportworld.co.kr/report-knou/r1412557 


Good UX Researcher

단순히 리서치 결과 데이터를 나열하는 수준이 아닌해당 데이터를 해석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해결책 및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리서처가 되어야 한다.

 


Chapter 3 :  인사이트란 무엇이며. 디자인을 할 때 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지

 

인사이트란

주어진 상황에 대한 특장점 및 문제점이며. 인사이트를 요약 및 묶을 수 있는 개념이 키워드이다.

 

  • 디자인 리서치의 활동을 하면서 (문제발견-개념화-해결방안도출-시각화)
    인사이트는 문제에 대한 아이데이션이다. 
  • 서치하면서 발견한 공통의 문제에 대한 자신의 개념화를 통한 결과물이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여러 개의 인사이트가 모여 그에 기반한 새로운 인사이트를 배출한다 (ex.어피니티 다이어그램)
  • 인사이트를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. 디자인의 컨셉의 방향을 잡아준다

 

중요성

인사이트의 오류로 인해 전반적인 디자인의 과정과 방향성이 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.

 

자료를 통해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였지만 자료의 문제 또는 방법의 오류로 인해 잘못도출되었을때
원초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며, 다시 처음 단계로 돌아가 피드백 형식으로
진행해야 하므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.


즉. 잘못된 인사이트로 인해 문제 해결책을 못 내놓을수도있고 잘못될 수도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.

 

#UXUI디자인


Final :  디자인은 기획이다.

댓글